섬개야광나무, 묘목&모종 나무사랑원예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고객평점
분류소속 장미과 이분류에속한식물보기
장미과에 대한 정보보기
학명/영명Cotoneaster wilsonii Nakai (Syn. Cotoneaster multiflorus Bunge)
판매가격

20,000원

포인트 구매금액(차량배송용 제외)의 2%
배송비

  택배발송상품 선택

총 금액 : 0원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카카오스토리로 보내기
  • 카카오톡으로 보내기
  • 네이버밴드로 보내기
  • 네이버로 보내기
  • 텀블러로 보내기
  • 핀터레스트로 보내기

키워드 태그 :

섬개야광나무

Cotoneaster wilsonii Nakai (Syn. Cotoneaster multiflorus Bunge)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꽃 섬개야광나무 꽃망울 섬개야광나무 꽃망울 섬개야광나무 열매 섬개야광나무 열매 섬개야광나무 열매 섬개야광나무 열매 겨울모습 섬개야광나무 포트
Click this image to close Pop-up

섬개야광나무는 낙엽활엽관목으로 울릉도의 해안가 절벽과 바위 지대에서 자라는 우리나라 특산종이다. 새가 육지에서 개야광나무 열매를 먹고 울릉도에서 배변으로 옮겨온 것으로 추정하며 울릉도의 독특한 환경에 적응해 분화했을 것으로 추측한다.

섬개야광나무는 키 1~4m자라고 오래된 줄기의 수피는 회색이며 어린 가지는 적자색 또는 갈색이고 처음에는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며 위쪽가지는 아래로 처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2~4cm 정도인 달걀형,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형이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앞면에는 털이 없거나 적고 뒷면에는 흰 털이 밀생하나 점차 적어진다. 잎자루는 길이가 2.5cm 정도로 털이 있고 턱잎은 줄꼴(선형)이고 길이 1~4mm이다.

5~6월에 피는 꽃은 연분홍색이 터치된 백색으로 지름은 8~12mm이며 꽃잎은 원형에 가깝고 지름이 3mm 정도로 5매이며 컵모양으로 피어 뒤에 조금 벌어진다. 꽃은 2~3년지에서 발생하는 다수의 신년지 끝에 산방꽃차례에 5~20개가 모여 달린다. 작은꽃자루(小花梗, pedice)는 길이가 4~6mm이며 털이 있다가 점차 떨어진다. 암술대는 2개고 수술은 20개 정도이며 꽃잎보다 길이가 약간 짧고 수술이 암술을 향에 안쪽으로 모여 오므린다. 열매는 이과로 지름이 7~8mm 정도고 길이가 조금 긴 원통형 둥근 모양이며 9~10월에 암적색으로 익는다. 섬개야광나무 잎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염 효과를 보이고 미백, 주름개선, 항암 효과를 확인하였는 연구가 있어 섬개야광나무 잎이 항산화제, 항암치료제 및 기능성 제품 원료 등에 이용 및 개발 될 가능이 높다.


[왜 섬개야광나무로 이름지었을까?]

봄에 나무를 백색으로 뒤덮어 밤에도 환하게 비춘다는 야광나무(Malus baccata)가 있다. 식물의 이름에 ‘개-’ 라는 수식어가 붙으면 비교 대상이 되는 종과 비슷하지만 그것에 비해 생김새나 꽃 모양, 열매 등이 볼품이 없는 경우이다. 개야광나무(C. integerrimus)는 야광나무보다 키도 작고 꽃이 컵모양으로 활짝 피지 않는 특징 때문에 이름에 ‘개’를 붙였는데 섬개야광나무는 개야광나무와 형태가 비슷하지만 울릉도라는 섬에서 자라기 때문에 ‘섬’이 더 붙었다.

섬개야광나무의 학명에서 속명(屬名) 코토네아스테르(Cotoneaster)는 라틴어로 퀸스(quince) 열매라는 뜻의 코토네움(cotoneum)과 ‘비슷하다’는 뜻의 아스테르(aster)를 합친 합성어이다. 퀸스(Cydonia oblonga)는 마르멜로(marmelo)라고도 불리는 과수로 열매가 사과와 배를 합친 것처럼 생겼는데 서남아시아와 유럽에서는 고대부터 술을 담그거나 시럽과 젤리로 만드는 등 식재료로 널리 쓰였다. 섬개야광나무의 열매 모양이 퀸스 열매를 닮아서 속명이 되었고 종소명인 윌소니(wilsonii)는 아시아에서 많은 식물을 채집한 영국의 원예가이자 식물 채집가 E. H. 윌슨(Ernest Henry Wilson, 1876~1930)에게 헌정한다는 뜻이다. 1917~1918년 일제강점기시 우리나라에도 방문하였고 나카이는 1918년 섬개야광나무의 종소명에 Wilson을 넣었다. 하지만 해외 식물학계에서 Cotoneaster multiflorus Bunge(백색꽃이 화들짝 벌어져 피고 열매도 차이가 있다)의 이명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국내 식물학계에서 이견을 적극 어필하지 않은것으로 보여 안타깝다.


[생육환경]

중부권 월동가능하고 양지이고 배수양호한 토양이면 적응한다.


[번식]

종자번식한다.



[World Plants (Complete List)]

Cotoneaster multiflorus Bunge; Fl. Altaic. [Ledebour] 2: 220-221 (1830)

  Name: Many-flowered Cotoneaster (EN), Vielblütige Zwergmispel (DE)

  Distribution:
        Norway [I]; Sweden [I]; Germany [I]; Austria [I]; Hungary [I]; Siberia (Altai); Kazakhstan; Turkmenistan; Uzbekistan; Kyrgyzstan;
        Tajikistan; Northern Caucasus; Transcaucasus; Turkey (E-Anatolia, SE-Anatolia); Afghanistan (Kunar / Nuristan);
        China(Gansu, Hebei, Heilongjiang, Henan, Hubei, Liaoning, Nei Mongol, Qinghai, Shaanxi, Shanxi, Sichuan, Xinjiang, Yunnan); Tibet;
        South Korea (Ullung Do Isl.); NW-India (Jammu & Kashmir); USA [I] (Iowa [I])
        10 nor swe 11 aut ger hun 30 SIB 32 KAZ KGZ TKM TZK UZB 33 NCS 34 AFG TUR 36 CHI TIB 38 KOR 40 IND 74 usa

  Remarks: Subgen. Chaenopetalum, sect. 3 Multiflori, Ser. 8 Multiflori

Synonyms:

= Cotoneaster borealichinensis (Hurus.) Hurus.; Inform. Annuales Hort. Bot. Fac. Sci. Univ. Tokyo. 14 (1967)

= Cotoneaster magnificus J.Fryer & B.Hylmö; New Plantsman 5(3): 138 (1998)

= Cotoneaster multiflorus var. borealichinensis Hurus.; Acta Phytotax. Geobot.13: 230 (1943)

= Cotoneaster reflexus Carrière; Rev. Hort. (Paris) 42: 520 (1870)

= Cotoneaster wilsonii f. pilocalyx Hurus.; Acta Phytotax. Geobot. 13: 229 (1943)

= Cotoneaster wilsonii Nakai; Bot. Mag. (Tokyo) 32: 104 (1918)

= Pyrus borealichinensis (Hurus.) M.F.Fay & Christenh.; Global Fl. 4: 97 (2018)

= Pyrus magnifica (J.Fryer & B.Hylmö) M.F.Fay & Christenh.; Global Fl. 4: 111 (2018)

= Pyrus multiflora (Bunge) M.F.Fay & Christenh.; Global Fl. 4: 113 (2018)

= Pyrus reflexa (Carrière) M.F.Fay & Christenh.; Global Fl. 4: 118 (2018)

= Pyrus wilsonii (Nakai) M.F.Fay & Christenh.; Global Fl. 4: 126 (2018)

 

 


QR CODE

섬개야광나무 QR code

섬개야광나무

Scan the QR Code to visit this page!

나무사랑원예

배송에관한 정보
배송안내
배송지역 전국
배송기간 1. 택배상품
보통 결제일로부터 2~3일소요되나 성수기에는 주문적체로 3~5일 소요될 수 있으므로 여유있게 주문하십시요. 공휴일은 배송기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도서,산간지역은 1~2일 추가 소요될 수 있습니다.

2. 차량배송상품
상품의 종류, 수량 따라 굴취 및 배송준비에 소요일정이 다르므로 최소 3~4일 이전에 주문하시고 도착일정을 협의하여 주십시요.
택배상품과 같이 주문하면 차량배송에 묶음배송되겠습니다.
포장비 구매금액 30,000원 미만이면 포장비 2,000원이 부과되며 택배비와 상관없는 별도 비용입니다.
배송비(택배) 배송비는 고객님의 부담으로 착불입니다.
1. 키 40cm이하 묘목, 야생화 포트류는 기본 4,000원으로 한박스에 20~30본 정도 포장가능하며
2. 키 1m좌우 묘목.중간목은 6,000원~8,000원으로 한박스에 10~20주정도 포장가능하고, 키 1.2m좌우 중간목 택배상품은 15,000원부터 부과되며 1포장 1~2그루입니다.
3, 피트모스, 배양토, 퇴비는 개별 배송비가 발생하며 착불배송입니다.
  - 피트모스 250리터 : 12,000원
  - 피트모스 50리터 : 6,000원
  - 배양토/퇴비 50리터/20kg : 6,000원
  - 펄라이트 100리터 : 6,000원
4. 도서지역에 부과되는 도선료는 구매금액, 품목과 상관없이 별도입니다.
배송비(차량) 차량배송비는 고객님 부담으로 착불입니다. 지역, 수량에 따라 상이합니다.
01. 반품기한
  • 단순 변심인 경우 : 상품 수령 후 2일 이내 신청
  • 상품 불량/오배송인 경우 : 상품 수령 즉시
  • 식물을 수령후 방치하여 고사 또는 손상된 경우 반품, 교환, 환불이 불가능합니다.
02. 반품 배송비
반품 배송비
반품사유 반품배송비부담자
단순변심 고객 부담이며, 최초 배송비를 포함해 왕복 배송비가 발생합니다. 또한, 도서/산간지역이거나 설치 상품을 반품하는 경우에는 배송비가 추가될 수 있습니다.
상품의 불량 또는 오배송 고객 부담이 아닙니다.
03. 배송상태에 따른 환불안내
환불안내
진행 상태 결제완료 상품준비중 배송지시/배송중/배송완료
어떤 상태 주문 내역 확인 전 상품 발송 준비 중 상품이 택배사로 이미 발송 됨
환불 즉시환불 구매취소 의사전달 → 발송중지 → 환불 반품회수 → 반품상품 확인 → 환불
04. 취소방법
  • 결제완료 또는 배송상품은 1:1 문의에 취소신청해 주셔야 합니다.
  • 특정 상품의 경우 취소 수수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05. 환불시점
환불시점
결제수단 환불시점 환불방법
신용카드 취소완료 후, 3~5일 내 카드사 승인취소(영업일 기준) 신용카드 승인취소
계좌이체 실시간 계좌이체 또는 무통장입금
취소완료 후, 입력하신 환불계좌로 1~2일 내 환불금액 입금(영업일 기준)
계좌입금
휴대폰 결제 당일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6시간 이내 승인취소
전월 구매내역 취소시 취소 완료 후, 1~2일 내 환불계좌로 입금(영업일 기준)
당일취소 : 휴대폰 결제 승인취소
익월취소 : 계좌입금
포인트 취소 완료 후, 당일 포인트 적립 환불 포인트 적립
06. 취소반품의 제한
  • 생물의 경우 단순변심으로 인한 반품 시, 배송 완료 후 2일이 지나면 취소/반품 신청이 접수되지 않습니다.
  • 성목으로 굴취하는 상품의 경우, 이미 작업이 진행된 경우 취소시 굴취 및 재 식재비용을 고객이 부담해야 합니다.
  • 취급 부주의로 파손/고사/멸실된 경우에는 취소/반품이 제한됩니다.